안녕하세요, 꿈꾸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4월 4주차(4/21~4/26) 경제 핫이슈 총정리4월 마지막 주, 글로벌 경제와 금융시장은 여러 굵직한 이슈로 출렁였습니다.미국 경제 지표 발표부터 기술주 실적 시즌, 한국 금리 동결까지,이번 주 어떤 사건들이 시장을 흔들었는지 한눈에 정리하겠습니다.1. 미국 1분기 GDP 성장률 예상보다 부진미국 상무부는 1분기 GDP 성장률이 **연율 1.6%**로 집계됐다고 발표했습니다.이는 시장 예상치(2.4%)를 크게 밑도는 수준입니다.높은 금리 부담과 소비 둔화가 주된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미국 경제 성장 둔화 우려가 커지면서, 시장은 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을 다시 주목하고 있습니다.2. 미국 3월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 발표연준이 가장 주목하는 인플레..
안녕하세요. 꿈꾸는 사람들의 이야입니다.이번 글은 최근 즐겨 보고있던 이혼숙려캠프 프로그램의 출연진이 사망하는 사건이 있어서 쓰게 되었습니다.삼가 고인의 명복을 기도하겠습니다. "이혼숙려캠프, 결혼지옥, 금쪽이, 아빠어디가?, 슈퍼맨이 돌아왔다. 10여 년간 방영된 가족 예능 프로그램들이 20~30대 결혼 인식과 저출산 문제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통계와 함께 심층 분석합니다."대한민국의 저출산 문제가 심각하다는 뉴스가 매년 들려옵니다. 2010년 한 여성당 합계출산율이 1.23명이던 것이 2024년에는 0.75명까지 떨어졌습니다. 혼인 건수도 2011년 33만 건에서 2021년 19만 3천 건으로 줄어 사상 최저를 기록했습니다. 통계청 조사에 따르면 20대 여성의 결혼 긍정 응답률은 2008년 50%에..
안녕하세요, 꿈꾸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40~50대 여성분들, 특히 주부 여러분께 도움이 될만한 주식 투자 가이드를 준비했습니다. 아들과 함께 주식 얘기를 많이 하다보니 제 아내도 몇 달 전부터 주식에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정말 기초적인 주식 지식이 없으니 이야기를 하기 어려워해요. 그래서 이런 기초적인 지식들을 나누고자 글을 쓰게 됐습니다.1️⃣ 주식 투자의 첫걸음: 비대면 계좌 개설요즘은 은행에 가지 않아도 스마트폰 하나면 주식 계좌를 만들 수 있습니다. 비대면 계좌 개설이라고 불리며, 다음 앱에서 시작할 수 있지요.증권사 앱 설치: 키움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 등 중 하나 선택본인 인증: 신분증 촬영 + 휴대폰 본인인증계좌 개설: CMA 계좌 또는 주식 계좌 개설소액 ..
안녕하세요, 꿈꾸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지난 주말 아들 내외와 함께 떠난 여수 여행 이야기를 나눠보려 합니다. 오랜만에 가족들끼리 함께하는 여행이었습니다. 둘째 아들은 일정이 있어 함께하지 못했지만 큰아들 내외와 함께 여행을 떠났습니다. 여행은 언제나 마음을 따뜻하게 해주지요. 이번 여행은 짧았지만 맛과 추억이 가득했던 여정이었습니다.먼저 도착한 곳은 이순신광장이었습니다. 날씨가 흐려서인지 사람이 많지 않았고, 그 덕분에 광장을 여유롭게 둘러볼 수 있었습니다. 광장 앞에 있는 오사카에서 건너온 3대째 딸기모찌를 판매하는 곳이 있었습니다. 사람들 줄이 길게 늘어져서 아들이 먹어보자고 하더군요.… 가격이 생각보다 만만치 않더군요. 선택지도 많고, 종류도 다양해서 어르신 혼자 오셨다면 오히려 고르기..
안녕하세요, 꿈꾸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제 아들, 그리고 며느리와 함께 살아가는 일상 속에서 느낀 ‘공무원 월급 루틴’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요즘은 젊은 세대도 돈을 참 체계적으로 관리하더군요. 공무원이라는 안정적인 직업을 갖고 있어도, 미래를 위해 얼마나 철저하게 준비하는지를 아들의 루틴을 통해 느끼고 있습니다. 📌 아들의 월급 루틴 (9급 6호봉 기준)세후 월급 약 230만원 수령매달 11만원 행정공제회 적립생활비는 아내(8급 4호봉)와 함께 150~180만원 공동 지출본인의 남는 돈은 전액 투자 (미국주식 + 국내주식 + 배당 ETF 등)며느리도 같은 공무원이라 월급은 세후 240만 원 정도 된다고 합니다. 두 사람 모두 각자 행정공제회에 11만 원씩 넣고, 생활비(월세, 공과금..
안녕하세요, 꿈꾸는 사람들의 이야기입니다. 오늘은 조금은 무겁지만, 우리 삶과 자산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주제인 '부동산 정책'에 대해 이야기해보려 합니다. 2025년은 차기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있는 해입니다. 그만큼 각 후보들의 부동산 공약이 하나둘씩 발표되고 있는데요, 과연 앞으로의 방향은 어떻게 바뀔까요? 그리고 윤석열 정부의 기조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생활의 기본이 되는 주거, 정책은 얼마나 피부에 와닿을까?” 저도 월세, 전세, 매매를 부단히 고민했었고 또한 제 주위 친구들의 성공과 실패를 꾸준히 목도했기에 부동산이라는 것이 숫자만의 게임이 아니라, 정말 우리 삶 그 자체라는 걸 절실히 느꼈습니다. 특히 40~50대 분들, 저와 비슷한 세대라면 자녀 교육과 내 집 마련 사이에서 고민..